NCCK 교회재정투명성제고위원회 ‘한국교회와 재정투명성’ 공청회 열어

▲ 4일 기독교호간 조에홀에서 열린 공청회 모습

“세금을 혈세라고 하는데, 헌금은 그 보다 훨씬 더 고귀한 뜻이 담긴 돈이다. 그런 돈이 어떻게 사용되는가 하는 것은 교회의 존재 이유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공동체이기 때문에 교회재정은 투명해야

NCCK 교회재정투명성제고위원회(위원장 황광민)는 4일 오후 서울 종로5가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한국교회와 재정투명성’ 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에서는 정재영 교수(실천신대)가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교회재정 운영’을, 김찬호 교수(성공회대)가 ‘교회재정의 투명성과 신뢰공동체’를 주제로 발제를 했다. 두 발제자는 공히 ‘교회는 공동체이므로 교회의 재정은 투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재영 교수는 “교회의 가장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하나는 ‘교회는 공동체’라는 것이다. 신학에서 ‘하나님 백성 공동체’라고 표현되듯이, 사회학에서 교회는 하나의 ‘도덕 공동체’로 이해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정 교수는 “교회 재정은 최소한 공동체 내부 구성원들에게는 의혹이 없도록 투명하게 운영되어야 하며, 일반 사회에서 요구하는 것보다 더 엄격한 도덕 기준에 따라서 다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찬호 교수는 “교회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초월적인 세계를 지향하지만, 공동체가 운영되는 방식은 인간세계의 온갖 문제들을 그대로 지닐 수밖에 없다”면서 “교회 재정의 투명성은 공동체의 수준을 가늠하는 핵심적 지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교회재정의 ‘소수에 의한 지배’가 문제

두 발제자는 한국교회가 재정의 투명성을 상실해서 구설수에 오르는 것은 물론 세상의 조롱거리와 비난의 대상이 되는 원인을 ‘교회조직의 관료제화’에서 찾았다. 소수에 의해서 교회 재정이 지배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김찬호 교수는 “교회 공동체는 신앙을 근거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모든 것이 저절로 깨끗하고 투명할 수도 있지만, 교권의 절대성이 강조되고 그에 연동하는 위계적인 서열이 고착되다 보면 속세 보다 뒤쳐진 저열한 단계에 발목이 잡히기 쉽다”고 밝혔다.

정재영 교수는 “교회 규모 자체가 커지고 대형화됨에 따라 교회 조직 자체가 관료제화 곧 ‘소수에 의한 지배’ 경향을 띄게 된다”며 “이는 목회자를 위시한 소수의 의사결정자가 공동체 앞에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헌금의 사용에 대한 권한을 갖는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회재정에 대한 ‘견제 시스템’ 작동돼야

따라서 두 발제자는 교회의 재정은 투명하게 운용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구체적 대안으로서 ‘견제 시스템’의 작동을 제안했다.

정재영 교수는 “대부분의 교회들이 교회 내 기관들에 대한 회계 감사는 철저히 하면서도 정작 교회 전체 예산에 대한 회계 감사를 받지 않는다”면서 “서로에 대해 책임과 의무를 갖는 것이 공동체이므로 교회 공동체성의 구현을 위해서 외부 회계 감사는 반드시 실시해야 할 사항”이라고 주장했다.

김찬호 교수는 “재정이 투명해지기 위해서는 우리의 이성과 지혜, 그리고 기존에 사회가 구축해놓은 장치들을 활용하여 양심에 위배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견제 시스템’을 작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김 교수는 “견제는 의심을 전제로 하고, 의심은 신앙과 배치되지만, 목회자를 포함해 모든 신도들이 언제나 실족할 수 있다는 겸허함을 바탕에 깔면, 상호 견제 시스템은 불신이 아니라 오히려 신뢰와 신앙을 도모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