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K 신학위원회, 500주년 기념 신학심포지엄 개최

▲ 14일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의 심포지엄 모습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NCCK 신학위원회(위원장 이정배 목사)가 심포지엄을 열고, 종교개혁을 이끈 5개의 솔라(sola, 오직) 교리 중 ‘오직 믿음’, ‘오직 은총’, ‘오직 성경’의 3가지 솔라에 대한 비판적 조명을 통해 한국교회의 나갈 방향을 제시해 관심을 모았다.

신학위원장 이정배 목사는 14일 오후 서울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열린 심포지엄 인사말에서 “종교개혁일을 기념한다는 것은 ‘종교개혁이 계속돼야 한다’는 당위를 수용, 실행하는 일과 유관하다”면서 이를 단지 제삿날 기억하듯 지나고 마는 한국교회를 향해 쓴 소리 했다.

나아가 이 목사는 “최근 들어 종교개혁의 신학원리, 즉 세 개의 ‘오직(only)교리가 중세 가톨릭교회의 면죄부보다 더 타락했다는 말들이 회자된다”면서 “△‘오직믿음’은 행위(삶)없는 신앙을 정당화시켰고 △‘오직은총’은 모든 것을 가능타하여 자본주의적 욕망에 면죄부를 주었으며 △‘오직성서’는 이웃을 배타하는 근본주의 원리로 치환된 지 오래”라고 밝혔다.

반면에 이 목사는 “만인제사직(장)론은 본래 정신에서 한없이 후퇴한 상태”라면서 “성직주의의 폐단이 가톨릭교회 이상으로 많고 커진 상황에 대해 깊이 자성할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이 목사는 “NCCK 신학위원회는 ‘오직교리’의 오ㆍ남용이 일상화된 기존 성직자(제사장)중심의 기독교 체제에 도전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심포지엄에서 김희헌 박사(향린교회, 조직신학)는 “종교개혁운동이 ‘경건한 개신교도들을 양성하는 일’ 즉 가톨릭과는 다른 신조와 교리를 암송하고, 새로 형성된 개신교적 교회제도와 윤리지침을 따르는 수동적인 인간상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고 본다면, 그것은 종교개혁을 이미 실패한 운동으로 간주하는 것과 다름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이어 “프로테스탄티즘은 순종적이며 경건한 그리스도 교도를 양성 길러내려는 것이었다”면서 “종교개혁 정신을 ‘오직 믿음으로’라는 사상에서 찾고자 한다면, 그것이 그 사람들의 모험정신을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고 쓴 소리 했다.

다시 말해서, ‘오직 믿음으로!’라는 구호를 외쳤던 사람들은 에라스무스가 ‘우신(愚神)의 시대’라고 불렀던 그 시대의 일부가 되기를 거부하며, 예속과 자기기만 역시 거부하며 신의 뜻을 새롭게 추구했다는 것이다.

최대광 박사(정동제일교회 부목사)는 종교개학신학 중 특히 유명론의 영향으로 이성을 한정시키고, 신의 은총을 과도하게 강조하여 인간의 수행인 영성을 억압하게 된 루터의 ‘오직 은총으로’ 교리를 비판했다.

특히 최 박사는 “종교개혁 신학이 기대고 있는 어거스틴의 은총론이 타락/구속의 전통에 속해있다”고 비판하면서, 대안으로 창조영성을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은총에 대한 인간의 수동성만을 강조한 것을 벗어나, 인간의 예술적 창조와 사회변혁을 통해 내적 깊이와 삶의 변화를 추구하자는 것이다.

김호경 박사(서울장신대, 신약신학)는 “루터의 ‘오직 성경’ 교리는 탈권위 및 해방과 자유라는 결과를 가져왔다”면서 “루터는 자신이 서있던 사회적 종교적 환경을 뒤집어엎는 전복적인 힘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박사는 “오직성경’에 있었던 그 전복적인 힘이 오늘날에도 여전한가?”라고 물은 “대답은 그렇게 낙관적이지 않다”고 안타까움을 피력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