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협 언론위원회 “교회협의 ‘고백과 증언 국민운동’ 전개 방침에 주목”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교회협/NCCK) 언론위원회는 「5월의 주목하는 시선 2020」으로 ‘고백과 증언, 과거를 딛고 미래로 나아가자’를 선정했다.

언론위원회는 교회협이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제안을 받아들여, 지난 5월 7일 “국민의 고백과 증언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을 규명 합시다”라는 입장문을 발표하고, ‘고백과 증언 국민운동’을 전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에 주목했다.

교회협은 입장문에서 “역사정의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국민의 힘이 모일 때, 가해자들은 양심과 용기의 이름으로 ‘침묵’을 깨고 진실을 ‘발언’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 운동에 대해 ‘하나님께서 주신 시대적 선교과제’로까지 의미를 부여했다.

20대 국회는 2018년 3월 13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했지만,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구성되지 못하다가 특별법 시행 1년 3개월만인 올해 1월에야 정식으로 출범했다,

이렇게 출범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교회협에 5·18민주화운동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고백과 증언 국민운동’ 전개를 제안했고, 교회협이 이를 적극 수용한 것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1980년 5월 광주학살의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은 이번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이르기까지 모두 9차례나 있었다. 그렇지만 1980년대 대표적인 ‘오월가’의 노랫말인 “왜 찔렀지, 왜 쏘았지, 트럭에 싣고 어딜 갔지”에 대한 답을 얻지 못했다.

교회협은 ‘가해자들의 양심적 고백과 증언을 간곡하게 호소’했지만, 안타깝게도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이 점은 민주화 이후 지난 20년 동안 시끌벅적하게 진행된 과거사 진상규명 작업의 성과와 한계를 보면 분명해진다. 한국에서는 그 동안 과거사 관련 법률이 20여 개나 제정되었고 수많은 위원회가 활동했지만, 단 한 명의 가해자도 처벌은커녕 법정에 세우지 못했다.

언론위원회는 “교회협이 5ㆍ18 진상규명과 관련해 고백과 증언 운동을 ‘하나님께서 주신 시대적 선교과제’로 제시한 것은 참으로 뜻 깊은 일”이라면서 “이 운동이 두 방향으로 심화되고 확산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먼저 '이 운동은 가해자의 고백을 넘어 공동체 전체로 확산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음으로 ‘한국교회와 기독교인 자신이 과거의 국가폭력과 관련하여 지난 날 자신들의 행적을 고통스럽지만 돌아보고 고백과 사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언론위원회는 “고백과 증언은 꼭 가해자나 목격자만이 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미래를 향한 고백과 증언은 우리 모두의 것이라는 인식이 ‘고백과 증언, 과거를 딛고 미래로 나아가자’를 5월의 시선으로 선정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교회협 언론위원회의 ‘(주목하는) 시선’에는 김당 UPI뉴스 대기자, 김덕재 전 KBS PD, 김주언 열린미디어연구소 상임이사,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 장해랑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 교수, 정길화 아주대 겸임교수,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가나다순).

저작권자 © 뉴스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