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3.1운동 100주년 기념예배 및 학술대회’ 열어

▲ 총회 임원 및 평신도 단체장들이 '나라사랑 실천강령'을 선포 중이다.

“우리 성결교회는 3.1운동 이후, 재림의 교리로 인한 교회 폐쇄라는 고난에도 불구하고 신앙적 소중함을 지킨 것처럼 온 민족이 복음으로 하나 되는 일에 더욱 앞장설 것을 결단한다.”

3.1절 100주년을 맞아 기념대회 등 다양한 행사로 교계가 분주한 가운데 기성 총회(총회장 윤성원 목사)가 처절하리만큼 자신들 교단의 일제강점기하의 부끄러움을 조명하는 한편, 자랑스러운 선배 성결인들 삶의 조명을 통해 새로운 각오를 다졌다.

기성 총회는 26일 서울 신촌교회(박노훈 목사)에서 ‘일제의 식민통치와 한국성결교회’를 주제로 ‘3.1운동 100주년 기념예배 및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1부 기념예배에서는 3.1운동 당시 성결교회의 역할을 재조명 하는 한편 ‘독립선언서 낭독’을 통해 당시의 감동을 되새겼으며, ‘나라사랑 실천 강령’을 선포함으로써 3.1운동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렸다.

총회장 윤성원 목사는 설교에서 “역사에 우뚝 선 승리의 기록으로 남은 3.1운동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변질되지 않고 비폭력으로 한국인의 독립 의지와 정신을 알렸다”면서 “자랑스러운 역사를 전승하고 우리도 역사의 한 페이지를 써 나가자”고 권고했다.

이어 “3.1운동 당시 조선 인구 2천만명 중 기독교 인구는 25만명에 불과했지만, 기독교는 민족에게 희망을 주고 모든 백성은 하나님 앞에 평등하다는 것을 전파하며 3.1운동을 이끌었다”면서 “100년 전 선배들이 남겨준 귀한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또 앞으로 시대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결단하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 설교 중인 윤성원 총회장

예배 후에는 8명의 신학자들이 연구한 ‘일제의 식민통치와 한국성결교회’라는 논문집 발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학술대회에는 8명의 논문 작성자들을 대표해 박명수 교수(서울신대)와 주승민 교수(서울신대)가 논문을 발표했다.

박명수 교수는 ‘1919년 3월 존 토마스 구타사건과 국제정치’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서,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한국성결교회의 이전 명칭) 대표자였던 영국인 존 토마스 선교사가 1919년 3월 19일 일본인 순경에 의해 구타당한 사건이 한국독립 운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해 밝혔다.

토마스가 당한 구타사건을 주한 영국총영사 대리 로이드가 매우 중대 사안으로 여겨, 강경 대처함으로써 배상금과 사과를 받아냈는데, 당시 미국인들이 영국인보다 상대적으로 홀대 받고 있음을 알고 있던 이승만은 ‘일본은 미국인을 영국인보다 못하게 취급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반일 감정을 일으켜 미국으로 하여금 일본과 싸우는 전선에 동참하도록 시도했다는 것이다.

이에 박명수 교수는 “토마스에 대한 구타사건은 이런 방식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에 기여했고 본다”고 평가했다.

주승민 교수는 ‘성결교단 해산과 성결교회의 변화’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한일합방이 있은 1910년 8월 29일이 나라의 부끄러운 날 곧 국치일(國恥日)이라면 1943년 12월 29일 한국 성결교회가 해산된 날은 교치일(敎恥日)일 수 있다고 밝혔다.

주 교수는 “일제 강점기를 향한 가장 강력한 도전적 사건이 3·1운동이라면 그 연속선상에서 한국 성결교회의 해산 사건은 일제가 한국민을 종교적·신앙적으로 완전히 지배하려했던 계획을 만천하에 드러낸 사건”이라면서 “(성결교회가 해산되던) 그 당일에 좀 더 ‘저항적인 표출’이 3·1운동의 연속선상에서 지속됐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은 전후 ‘일본 기독교단’에서뿐 아니라 일본 성결교회의 전쟁 책임론에 대한 고백이 메타노이아(회개)와 화해 차원에서 함께 이뤄진 반면, 한국교회 안에서는 정리된 과거 역사 바로 세우기의 움직임이 교단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다”면서 “한국교회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교회사적으로 역사 바로 세우기가 시급한 실정”이라고 쓴소리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