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3·1운동 역사문화자료 조사사업 최종 보고회’ 열려

▲ 26일 프레스센터에서의 보고회 모습

3·1운동은 기독교를 떼놓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라는 게, 한국사를 조금만 배운 이들이라면 갖게 되는 인식이다.

민족 대표 33인 중 16인이 기독교인이었던 것은 너무도 잘 알려진 사실이고, 1919년 말 일본헌병대가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3·1 운동 관련 △검거된 19,525명 중 3,426명(17.6%)이 기독교인이며 △이들 중 목사 등 교역자는 244명(7.1%)이었으며 △검거된 여성 471명 중 기독교인은 무려 309명(65.6%)에 달했다.

당시 기독교인은 총 인구의 1.5% 정도로 추정되고 있는 역사적 사실을 감안하면 발군의 활동이다.

이러한 가운데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이사장 윤경로)가 문화체육관광부와 기독교대한감리회의 발주를 받아 2016년 3월부터 2017년 4월 말까지 14개월 동안 3·1운동 관련 기독교 자료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검증에 나서, 그 결과를 26일 최종 보고했다.

이번 조사는 △3.1운동 이후 있었던 판결문과 보고서, 언론보도, 증언문과 논문 등을 수집한 자료조사팀 △3.1운동 관련 기독교인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일지를 정리한 인물조사팀 △전국의 3.1운동 관련 문화유산을 발굴한 문화유산조사팀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보고에 따르면, 인물조사팀은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한 기독교 인물(기독교인으로 추정된 인물 포함) 전수 조사를 통해 모두 1.968명의 이름을 확인했다.

△1차 지방사 및 향토지 개교회사(史), 기관사 및 학교사 △2차 일제 법원이 기독교인을 재판했던 298건의 판결문, 신문조서, 독립유공자훈록 등 △3차 사전류(기독교대백과, 한민족대백과), 친일인명사전,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등 A4 용지 3,151쪽에 달하는 자료를 수집, 분석을 통해서다.

자료조사팀은 3.1운동 당시 보도된 기사 내용을 중점적으로 수집했다. 유일한 기독 언론이었던 기독신보와 일반 언론인 조선일보, 독립신문, 동아일보 등에 출고된 기사를 통해 당시 3.1운동으로 인해 재판 받은 기독교인 대다수가 ‘주동자’ 신분으로 조사받은 것 확인했다.
 
문화유산조사팀은 경기권,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제주권, 강원권 등 7개 권역에서 공주제일교회나 월산교회 같은 만세 운동의 거점을 비롯해, 유관순 열사상, 독립 만세 운동 기념비, 3·1운동기념관 등 전국 분포 현황을 조사 총 657개의 기독문화유산을 확인했다.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이사장 윤경로 교수(한성대 명예)는  “2년 후가 3·1 운동 100주년”이라면서 “2년 동안 이 자료를 분석하고,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이고, 한국교회가 역사 속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를 돌아보고, 오늘의 모습에서 반성할 점은 무엇인지도 살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고한 연구책임자 한규무 교수(광주대)는 “전수 조사였으나 누락된 자료ㆍ인물ㆍ문화유산이 상존”한다면서 “3.1운동 당시 실제 참여현황과 이번 조사결과의 간극을 좁히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저작권자 © 뉴스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