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효학회 주최 ‘한국사회와 기독교 효’ 세미나 열려

기독교의 효와 제사 그리고 추도예배의 상관 관계를 조명한 소논문이 발표돼 관심을 모은다. 이은선 교수(안양대)가 28일 서울신대에서 열린, 기독교효학회(회장 최성규 목사) 주최 ‘한국사회와 기독교 효’ 세미나에서 발표한 ‘기독교의 효와 제사와 추도예배’가 그것이다.

▲ 28일 서울신대 백주년기념관 국제회의실에서의 세미나 모습

추모예배, 성경적 효 되새기는 기회 삼아야

조상제사와 관련 아직까지도 완전하게 해결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기독교가 신자들에게 조상제사 대신 추도예배를 허용함으로써 조상 제사로 인한 갈등이 어느 정도 해결됐음은 모두가 주지하는 바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이 교수에 의하면, 추도예배에 대해서 ‘조상 제사가 지닌 가족중심주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점’과 ‘절하지 않음에서 오는 무엇인가 부족한 느낌’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 교수는 “기독교의 진보진영에서는 이미 절을 하고 상을 차리고 조상들에게 기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수적인 교회는 절하는 것은 (십계명의) 제1, 2계명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이해를 확고히 갖고 있기에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교수는 “유교 문화에서 발전된, 죽은 부모에 대한 ‘효의 실천’으로서의 제사는 복음전파의 과정에서 새로운 과제를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면서 “부모에 대한 효가 점점 더 약화되고 있는 현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고 강조했다.

“부모를 생각하며 슬퍼한다는 뜻의 ‘추도’보다는, 부모를 사모하고 그리워한다는 의미에서 ‘추모’라고 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주장하는 이 교수는 이에 “지금까지 잘 정착돼 온 추모예배를 더욱 기독교 신앙에 토대를 두면서 건전한 가족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부모님들의 신앙유산을 이어받는 건전한 삶의 자리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의 발제에 대해서 논찬을 한 박명수 교수(서울신대)도 이 교수의 이러한 견해와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했다.

박 교수는 “추도예식은 조상제사에서 종교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공동체적인 요소는 살림으로써 가족공동체의 의미를 되살리려는 것”이라며 “기독교는 제사제도의 폐지가 아니라 제사제도의 개혁을 주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한국사회는 조상제사도 추도예식도 시들해지고 있다”며 “오히려 지금 우리의 가장 큰 문제는 제사제도를 수용할 것인가 보다는 변화된 환경 속에서 어떻게 가족을 지킬 수 있는가 하는 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